본문 바로가기
건강

속쓰림의 원인과 이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by 정보통이것저것 2023. 1. 31.
반응형

속쓰림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앓고 사는 질환인 위장질환 중에 가장 주된 증상이 바로 속쓰림이다.

속쓰림의 원인과 이유

속쓰림의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위에서 분위 되는 위산 때문에 위 점막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지만 의외로 위산과다가 아닌 위산부족으로 인해서도 속 쓰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속 쓰림의 증상이 언제,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따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식사 후에만 나타나는 속쓰림 : 만성적인 소화불량의 증상이 있는 경우가 많고 위궤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 공복 시에 나타나는 속쓰림 : 십이지장궤양을 의심해 볼수 있다.
  • 하루종일 지속되는 속쓰림 : 위산분비가 하루종일 과다하게 지속되는 경우로 고기나 과일과 같은 위산분비를 촉진하는 음식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위염

위염은 과도한 약물 복용이나 세균 및 음식물에 의해서 발생한다. 쉽게 말해 위에 염증이 발생했고 그로 인해 점막이 손상되어 계속되는 자극으로 인해 만성위염으로 가는 것이다.

평소에 체한 것처럼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속이 쓰리면서 신물이 올라오는 등의 증상과 심할 경우 복부팽만감과 복통, 구토가 느껴진다면 위염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역류성 식도염

위 속에 있는 위산과 음식물이 위쪽 식도로 역류해서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증상으로는 가슴이 답답하고 쓰리다는 것이며, 심할 경우에는 가슴통증이 있고 항상 목이 이물질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러한 이물감은 실제로 이물질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삼키거나 뱉어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계속해서 신 트림을 하고 목이 쓰리고 목소리에 변화가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위궤양

위염보다 더 진행된 상황으로 위에 궤양이 생긴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대변이 묽고 잘 풀어지며 대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공복 시에 속이 쓰리다가도 음식을 먹으면 더 심한 속쓰림이 찾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십이지장궤양

위 아래쪽에 있는 십이지장 쪽에 궤양이 생긴 것으로 십이지장 점막이 위산에 의해 손상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헛구역질, 구토의 증상이 나타나며 구멍이 나는 천공현상도 생길 수 있다.

공복 시에 더 많은 속쓰림을 겪다가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속 쓰림의 원인들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위산과다를 일으키게 된다. 실제로 속쓰림을 호소하는 환자의 60% 이상은 비궤양성으로 단순히 위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원인이 많았는데 위내시경을 받더라도 특별한 특이점을 찾을 수가 없다.

스트레스가 원인이므로 스트레스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소염 진통제 남용

소염진통제를 남용할 경우에 속쓰림이 발생할수 있다. 소염진통제는 위상으로부터 위장이 보호되는 것을 막는 부작용이 있어서 소염진통제를 남용할 경우 속쓰림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먹는 아스피린, 수면제, 항생제도 이러한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불규칙한 식습관

식사를 빨리 하거나 급하게 먹는 경우, 너무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경우에도 속쓰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저녁식사의 시간이 너무 늦거나 잦은 음주 또한 속쓰림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뱃 속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음식과 식품

잦은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해 속이 더부룩하거나 불편하다면 통곡물, 바나나 등이 좋다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음식과 식품 통곡물 보통 일반사람들은 흰쌀밥 정제미를 많이 먹게

perfecthealth.tistory.com

 

 

복부 배에 가스가 자주 차는 원인은 무엇일까?

배 나 복부에 가스가 차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대부분 장 또는 배변에 문제가 생겼거나, 스트레스등으로 인한 소화불량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복부 배에 가스가 자주 찬다는

perfecthealth.tistory.com

 

반응형

댓글